디지털헬스학과 입학생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진 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 입학 지원시 해당 교수의 프로필 및 연구분야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김석형 교수 / M.D., Ph.D. |
이름 : 김석형 M.D., Ph.D. 소속 : 의과대학/병리학 직급 : 교수 캠퍼스 : 연구실 : 암병원 B4 194-6 E-mail : platoshkim@skku.edu Homepage : http://molecularpathology.tistory.com/ 실험실명 : 종양 줄기세포에서의 transcriptional network과 암 전이기전 연구 참여학과 : 융합의과학과, 디지털헬스학과 인쇄하기 |
■ 학력 및 경력 1990 ~ 1996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 1997 ~ 200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의학박사(병리학), 1997 ~ 2001 서울대학교 병원 병리과 레지던트 2001 ~ 2003 다이노나(주) 항체제품 연구개발팀장 및 유전자조작 마우스 표현형 분석팀장 2003 ~ 2007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전임강사, 조교수 2007.03 ~ 2007.12 교환 교수, 워싱턴 의대 (세인트 루이스) 2008 ~ 현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부교수, 교수 제 연구에 대한 보다 자세한 소개는 http://molecularpathology.tistory.com/ 에 있습니다. ■ 연구소개 악성 종양은 현재 가장 중요한 사망 원인이고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여전히 가장 근본적인 문제들은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암의 생성과정을 이해할려면 정상줄기세포가 어떻게 해서 몸의 항상성(homeostasis)를 유지하는 지 알아야 하고 암의 전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포의 분화과정과 morphogenesis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분야들은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으며 많은 사람들의 도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1) 암줄기세포 (cancer stem cell) 암에 관한 가장 큰 발견은 암이 예상과 달리 동일한 세포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암 세포들도 신라시대의 성골-진골-6두품처럼 계급이 있고 가장 상위 계급인 암 줄기세포 또는 tumor initiating cell만이 무한히 증식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암 줄기세포는 단순히 암의 발생 뿐 아니라 암의 전이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세포로도 떠오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관내에 암세포가 돌아다닌다고 해도 그 암세포가 6두품에 해당되는 일반 암세포면 설령 원격전이를 해도 얼마 안 가 스스로 고사할 것입니다. 그리고 암줄기세포는 항암치료에도 반응하지 않고 생존력이 일반 암세포보다 월등히 뛰어나 암 재발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2) EMT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는 상피세포가 mesenchymal character를 띠는 것으로 암세포가 EMT과정을 거치게 되면 원래의 상피세포로서의 성질을 잃어버리고 fibroblast처럼 세포 모양도 길쭉해지고 세포의 이동에 편리한 형태로 변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게 되면 암세포는 그전보다 주변조직으로의 invasion능력이 크게 향상되 암 전이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게 됩니다. 또한 최근에는 암세포의 EMT는 암 줄기세포와 밀접한 관련이 있슴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3) Cancer microenvironment 인체내에서 암세포는 빈 공간에서 암세포 혼자 마구 자라는 것이 아니라 온갖 chemokine, cytokine, growth factor로 가득 찬 extracellular matrix 속에서 monocyte, lymphocyte, fibroblast, endothelial cell, neutrophil등 수 많은 다른 세포들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증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암세포와 암 미세환경(cancer microenvironment)간의 상호관계는 예상보다 훨씬 중요하며 암세포의 행동패턴 특히 전이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본 연구자는 Twist1이 암 미세환경을 유발하는 주요인자임을 세계 최초로 보고한 바 있습니다.
(4) CSC-EMT-Cancer microenvironment 언뜻 보기에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암줄기세포와 EMT, 암 미세환경은 실제는 아주 밀접히 관련되 있으며 사실은 하나의 현상을 지칭하는 세 가지 명칭일 지도 모릅니다. 저희 실험실에서는 cancer cell에 EMT를 유발하면 그 cancer cell이 암 줄기세포로서의 성질을 띠고 cancer cell을 activation된 primitive fibroblast와 coculture를 하면 역시 암줄기세포로서의 성질을 띠기 시작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런 현상을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겉으로 드러나는 이러한 현상의 기저에 있는 transcriptional regulatory network을 이해하는 것이 가장 필수적이라고 생각되어 Twist1, Snail, Slug, ZEB1, ZEB2등의 주요 transcription factor간의 상호 작용을 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이용해 whole genome수준에서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실험실은 소화기암과 관련된 풍부한 임상데이터와 tissue sample도 다수 확보하고 있으며 기초적인 연구성과를 곧바로 임상연구와 연결시키고 있습니다. (5) 미래의 생물학과 의학 생명현상의 가장 근본적인 핵심은 여전히 cell을 이해하는 것이며 cell은 단순히 몸을 구성하는 단순한 기본단위가 아니라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하고 그것이 기억하며 주변 세포들과 얘기를 해서 조직을 만드는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몸 자체도 처음 시작은 단 한 개의 세포였다는 것을 감안하면 세포가 얼마나 복잡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지 이보다 더 잘 설명할 수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문제는 cell이 지닌 이런 능력이 분화가 되면서 억눌려 있다가 cancer가 되면서 다시 재가동된다는 데 있습니다. 사실 cell이 가진 능력이 보잘 것 없었다면 cancer를 치료하는 것이 이렇게 어렵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세포의 정보처리 과정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거의 없으며 수천 광년 떨어진 우주의 블랙홀보다 오히려 세포에 대해서 더 모르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미래의 생물학의 가장 핵심은 정량분석이 가능한 강력한 분석도구의 출현과 이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 systems biology가 될 것입니다. 모든 과학은 결국 수학으로 표현될 수 밖에 없으며 생물학도 궁극적으로 그렇게 되야 하나 분석기법의 제한으로 현재는 여전히 정성적인 분석에 머물고 있습니다. ■ 연구분야 키워드: 암미세환경, 암연관섬유아세포, transcriptional network, EMT(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 대표 업적 (selected) 1. So-young Yeo, Keun-Woo Lee, Dongkwan Shin, Sugyun An, Kwang-Hyun Cho*, Seok-Hyung Kim*. A positive feedback loop bi-stably activates fibroblasts. nature communications 2018 Aug 1;9(1):3016. doi: 10.1038/s41467-018-05274-6. *:corresponding author 2. Hak-Min Lee, Eunmyong Lee, So-young Yeo, Sang Shin, Hyun-Kyu Park, Do-Hyun Nam*, and Seok-Hyung Kim*. Drug repurposing screening identifies bortezomib and panobinostat as drugs targeting cancer associated fibroblasts (CAFs) by synergistic induction of apoptosis. Invest New Drugs. 2018 doi: 10.1007/s10637-017-0547-8. *:corresponding author 3. So-young Yeo, Sang-Yun Ha, Keun-Woo Lee, Yan Cui, Zhao-Ting Yang, Yan-Hua Xuan*, and Seok-Hyung Kim*. Twist1 is highly expressed in cancer-associatedfibroblasts of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with a prognostic significance. Oncotarget. 2017: 8(39): 65265–65280. *:corresponding author 4. Sung Wook Son*, Seok-Hyung Kim*, Eun-Yi Moon*, Dong-Hoon Kim, Suhkneung Pyo, Sung Hee Um. Prognostic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the vacuolar H+-ATPase subunit V1E1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Oncotarget. 2016 7(31) : 49334-49348. *:co-first author 5. Keun-Woo Lee, So-young Yeo, Chang Ohk Sung, and Seok-Hyung Kim*. Twist1 as a key regulator of cancer-associated fibroblasts. Cancer Research 2014 in press *:corresponding author 6. H J Kim, S-H Kim, E J Yu, W-Y Seo and J H Kim. A positive role of DBC1 in PEA3-mediated progression of estrogen receptor-negative breast cancer. Oncogene. 2014 in press H J Kim, S-H Kim equally contributed. 7. So-young Yeo, Sang-Yun Ha, Eun-Ji Eu, Jeong-Hoon Kim* and Seok-hyung Kim*. ZNF282 (Zinc finger protein 282), a novel E2F1 co-ativator, promotes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Oncotarget, 2014 in press. *:corresponding author. 8.Su-Yeon Cho, Sang-Yun Ha, Seok-Hyung Kim*.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Smad3, Smad4, Smad3 phosphoisoform expression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Medical oncology 2014 in press. *:corresponding author. 9. Keun-Woo Lee, Chang Ohk Sung, and Seok-Hyung Kim*. CD10 expression is enhanced by Twist1 and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with facilitating tumorigenicity in vitro and in vivo.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2014 in press *:corresponding author |